Who: T1What: BMW그룹과 스폰서 파트너십 계약 체결Why: 전 세계 시장에서 공동 마케팅 진행 IssueSK텔레콤의 e스포츠 전문 기업 T1이 BMW그룹과 스폰서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BMW그룹이 국내 스포츠 구단과 스폰서십을 체결한 것은 처음입니다. PointT1은 국내 대기업이 e스포츠 전문 기업을 설립한 첫 사례입니다. e스포츠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다양한 산업과의 시너지가 기대되고 있는데요, 온라인 스트리밍 중계로 홍보 효과가 높아 많은 기업들이 스폰서십에 나서고 있습니다. 키워드① T1T1은 SK텔레콤이 2004년 창단한 프로게임팀에서 지난해 컴캐스트와 함께 설립한 e스포츠 전문 기업으로 거듭났습니다. 글로벌 인기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와 '포트나이트' 등 10개의 팀을 운..
이슈.1 SKT, '넥슨'과 게임 투자 MOU 체결Who: SK텔레콤What: 넥슨과 전략적 제휴 체결Why: 게임과 5G 통신 시너지 효과 기대 IssueSK텔레콤과 넥슨이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습니다. 양사는 보유한 게임 콘텐츠 공동 마케팅 및 신규 콘텐츠 투자에 나섭니다. Point'게임'과 '통신' 사업자 간의 MOU가 체결되었습니다. 게임은 5G 서비스 일환으로 이통3사 모두 적극적으로 확보 중인 콘텐츠 중 하나인데요, SK텔레콤은 국내 게임 강자와 손잡아 경쟁력을 강화합니다.*MOU(memorandum of understanding): 정식 계약을 맺기 전에 투자에 관한 합의 사항을 명시한 문서. 양해각서라고도 한다. 키워드① SK텔레콤 X 넥슨양사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넥슨이 출시 예정인..

'독일'을 사로잡은 의외의 한국 물건? 세계에서 가장 존경받는 디자인상 중 하나인 '2019 독일디자인어워드(German Design Award)'에서 국내 스타트업이 스페셜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뤘습니다. 주인공은 최근 수요가 늘어난 '웨건'을 제작하는 (주)브랜뉴인터내셔널로, 최근 출시한 프리미엄 디럭스 웨건 브랜드 KEENZ로 독일에서 인정받은 것입니다. 이 국내 웨건 브랜드는 비단 독일뿐 아니라 미국, 캐나다, 싱가폴, 인도네시아, 호주, UAE, 태국, 스웨덴, 이스라엘 등 해외 각지에서 판매하고 있으며, 창업 5년 차 스타트업임에도 2018년 매출 약 88.9억 원을 달성했습니다. '유아용품' 트렌드가 변했다 스타트업으로서는 흔치 않은 제조업에 도전했음에도, 전 세계 누적판매량 8만 대를 돌파..

n명의 범죄자 n번방의 실체가 공개된 뒤로 사회적 분노가 들끓고 있습니다. 2018년 말 텔레그램에서 개설된 n번방은 성 착취물을 공유하는 대화방이었습니다. *n번방 사건 : 2018년 하반기부터 2020년 3월까지 텔레그램, 디스코드, 라인, 위커, 와이어 등의 메신저 앱을 이용하여 벌어진 대규모 디지털 성범죄, 성 착취 사건. 해당 채팅방 운영자들은 트위터나 채팅앱에서 피팅모델 아르바이트나 데이트 아르바이트를 모집한다며 10~20대 미성년자 및 일반 여성을 유인했고, 신상정보 및 얼굴이 나온 나체사진 등을 요구한 뒤 이를 빌미로 협박해 성 착취물을 지속적으로 찍어 그 영상을 텔레그램 비밀대화방에서 판매했다. 일명 '박사'라는 가명을 쓴 운영자(조주빈)는 이들 여성들을 노예라 지칭하면서 몸에 '노예'나..

'타다'는 멈춘다 2018년 10월 출범한 모빌리티 플랫폼 '타다(TADA)'가 약 1년 반 만에 멈추어 설 위기에 처했습니다. 일명 '타다 금지법'으로 불리는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개정안이 3월 6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기 때문입니다. https://youtu.be/nBg5zZx-5_M 이에 따라 타다는 장애인 및 만 65세 이상 대상인 '타다 어시스트' 서비스를 중지했고, '타다 베이직' 서비스는 1개월 내 중단, 프리미엄·에어·프라이빗 서비스만 정상운영할 예정입니다. 1년 반 정도의 짧은 시간 동안 택시 승차거부나 무례한 태도 등의 악습을 개선하는데 큰 역할을 하며 이용자들의 환영을 받은 타다. 이런 타다를 위기에 빠트린 타다 금지법의 핵심 쟁점이 무엇인지 또 세계적인 추세는 어떠한지에 대해 자세히 ..

4•15 총선의 뉴페이스 "한 사람이 온다는 것은 실은 어마어마한 일이다. 그 사람의 일생이 오기 때문이다." 지난 2016년 더불어민주당이 인재 영입에 나서면서 내건 시구입니다. 정치권의 '뉴페이스' 발굴 취지를 이토록 잘 설명하는 글귀가 또 있을까 싶습니다. 총선이 있는 올해도 각 정당은 어김없이 인재 영입에 나섰습니다. 지금까지 수십 명의 새 인재가 발표된 가운데 스타트업 관련 인물의 등장도 돋보입니다. 스타트업 인재 모시기 나선 정치권 민주당이 6번째 영입인사로 소개한 홍정민(41) 로스토리(Lawstory) 대표가 대표적입니다. '경력 단절 여성의 롤모델'이라는 타이틀로 고양병으로 출마한 홍정민 후보는, 변호사로서의 경력을 살려 지난 2018년 국내 최초 AI 법률서비스를 제공하는 로스토리를 세..

회계사가 반한 드라마 안녕하세요. 김규현 회계사입니다. 잘 지내셨나요? 오늘은 드라마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 드라마를 자주 보는 편은 아니지만 그래도 인기 있는 드라마는 주말에 '다시보기'로 1, 2회 정도 맛을 보고 빠지면 몰아서 다 보는 스타일인데요, 얼마 전 종영된 SBS '스토브리그'와 현재 방영 중인 JTBC '이태원클라쓰'는 제가 한창 빠져있는 드라마입니다. 왜 빠져있냐? 우선 배우들의 '연기'가 훌륭합니다. '스토브리그'의 남궁민 씨가 이렇게 멋진 배우라는 걸 처음 알았고, '이태원클라쓰' 조이서 역을 맡은 김다미 씨는 처음 보는 배우인데 완전 팬이 돼버렸습니다. 두 번째 이유, 두 드라마 모두 '사업'과 관련돼있습니다. '스토브리그'는 야구 드라마, '이태원클라쓰'는 복수극처럼 보이지만,..

[CFO Letter] 다양한 규모의 Start-up 업무 경험을 통해 축적된 유용한 정보들을 저만의 방식으로 공유하려 합니다. CEO를 포함한 기업의 다양한 의사결정권자들에게 직접 편지를 보내는 마음으로 시작합니다. 회계, 세무 및 재무관리 등 전문 영역의 지식과 경험을 정리하는 시간이 될 것이고, 이런 정보들이 다른 사람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CFO Letter 구독하기✔ #1 '스타트' 안녕하세요. 김규현 회계사입니다. 첫 메일인 만큼 제목을 결정하는 게 너무 어려웠으나 그냥 심플하게 가기로 했습니다. CFO-Letter의 목적과 목표 이 메일을 받으시는 분들은 아래의 세 유형에 속할 것입니다. 1) 회계법인 마일스톤 고객사 관계부서 임직원 및 대표님 2) CFO-le..

우버 10년, 파괴자의 딜레마는 계속된다 "새는 알을 깨고 나온다." 헤르만 헤세의 소설 [데미안]에 나오는 명문입니다. 비즈니스에 비유하면 이렇게 표현할 수 있지 않을까요? '새로운 사업의 탄생을 위해선 기존의 익숙한 환경을 극복해야 한다.' 차량호출 서비스 '우버(Uber)'가 택시업계에 균열을 내며 출범한 지 벌써 10년이 넘었습니다. 2009년 탄생한 우버는 차량과 기사 없이 제공하는 '승차공유 서비스'로, 업계 상식을 깨고 공유 경제라는 새로운 비즈니스를 탄생시켰습니다. 그런데 10년이 지난 지금 새가 너무 많은 알들을 깬 건 아닌가 하는 우려가 속속 등장하고 있습니다. 탄생한 지 10년이 넘었음에도 우버는 아직도 정착을 못한 걸까요? 창업 10년이 넘은 우버가 겪고 있는 4가지 딜레마를 정리해..
그 이유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눠볼 수 있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도시바 몰락은 2006년 원전 핵심 기술을 보유한 미국 웨스팅하우스를 54억 달러(약 6조1,600억 원)에 인수한 때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웨스팅하우스는 기술력 있는 원전 회사였지만, 수주한 원자력 발전소 공사가 늦어지면서 비용이 눈덩이처럼 커졌습니다. 하지만 도시바 본사는 자회사의 독립 경영을 철저히 인정하는 경영 방침을 지키느라 웨스팅하우스가 수조 원대의 손실을 냈는데도 전혀 감지하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일본 신문들은 "본사는 자회사의 보고 직전까지 이렇게 손실이 많은지 전혀 몰랐다"고 보도했는데요, 미리 손실 규모를 알았다면 회사의 기둥이라고 할 수 있는 반도체 부문을 이렇게 허겁지겁 매물로 내놓지 않아도 됐다는 것이..
- Total
- Today
- Yesterday
- 주식
- 삼성전자
- 시사용어
- 부동산투자
- 기업분석
- 경제
- 부동산
- 투자
- 일본
- 아파트
- 상식
- 코스닥
- 팟캐스트
- 종목추천
- 시사경제용어
- 주가
- 재테크
- 주식투자
- 코스피
- 취업
- 앞집
- 증시
- 문재인
- 주식 시황
- 금융
- 종목분석
- 책추천
- 사이다경제
- 증권
- 경제책추천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