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 책에 대해서 더 알고 싶다면?
‘긱 이코노미’ 생존법! <일을 잘 그만두기> 정규직의 종말! 긱 이코노미에서 살아남기! ‘긱 이코노미(Gig Economy, 긱 경제)’를 아시나요? '긱(Gig)'이란? 1920년대 미국 재즈 공연장에서 그날그날 필요에 따라 연주자를 섭외해 공연하던 것을 일컬었던 말로, 임시직으로 수행하는 일을 의미합니다. 다시 말해, ‘긱 이코노미’는 그때그때 필요할 때마다 단기 계약직, 임시직, 프리랜서 등을 섭외해 일을 맡기는 경제 형태를 뜻하죠.최근 노동자가 회사나 고용주에 얽매이지 않고 독립적으로 일하는 긱 이코노미가, 세계 경제와 고용 시장의 새로운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2020년이 되면 직업의 43%가 이 같은 형태로 바뀔 것이란 예측도 나오고 있죠, (America Action Forum) 긱 이코노미의 성장 원인 -사라지는 정규직 한 세대 전만 해도 대부분의 노동자는 안정적인 직장에서 정규직으로 일을 했죠. 그들이 평생 몸담은 회사는 한두 개에 불과했습니다. 하지만 온갖 혜택으로 가득 찬 안정적인 정규직은 빠르게 자취를 감추고 있습니다. 이유는 두 가지 입니다. 1. 새로운 일자리 감소 하버드경영대학원(HBS)에서 2015년 발표한 연구자료에 따르면, 민간 분야는 매년 2~3퍼센트의 비율로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해왔습니다. 하지만, 2000년 닷컴 열풍 이후 새로운 일자리는 꾸준히 줄어들어서 2008년에는 1퍼센트가 안 되었고, 2015년에는 사상 최저치가 되었습니다. 2. 기업들의 정규직 기피 현상 새로운 일자리가 줄어드는 것과 함께 기존에 있던 일자리도 사라지는 추세입니다. 기업들은 기존의 정규직 일을 소규모 프로젝트나 업무로 나눈 뒤 자동화하거나 위탁, 혹은 도급을 주고 있습니다. 정규직 직원을 고용하면 프리랜서보다 30~40% 많은 비용이 들기 때문이죠. 때문에 비싸고 유연성 낮은 정규직 직원은 기업에서 고용을 꺼리는 추세입니다. 이런 이유로 앞으로의 노동시장은 ‘직업’이 아닌 ‘일’ 중심으로 바뀔 것입니다. 노동자들은 평생 한 가지 직업이 아닌 다양한 일을 하게 될 것이며, 대부분 최대 3~5년 정도만 근무하다 다른 직업으로 옮기면서 다양한 경력으로 삶을 채워나갈 것입니다. 이러한 변화에는 준비가 필요합니다. 우리가 잘 준비한다면, 긱 경제는 우리를 불안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에게 독립적인 삶을 살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고용주와 융통성 없는 업무 구조에 묶인 전형적인 노동자가 누릴 수 없었던, 자율성, 유연성, 주도권을 얻을 수 있는 것이죠. ‘긱 경제’ 시대에서 살아남기 위한 준비 <잘 그만두기!?> 긱 경제에서 노동자는 일을 잘 그만두는 법을 배워야 합니다. 일자리는 불안정하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고 일을 정기적으로 바꿀 준비를 하는 것이죠! 일명 ‘일을 잘 그만두기 위한 출구전략’이 필요합니다. 출구전략은 흔히 ‘벤처 업계’에서 자주 사용되는데요, 벤처 기업가는 투자자에게서 자금을 모을 때, 기업 매각 계획이 있는지, 상장 계획이 있는지 등의 출구전략을 설명해야 합니다. 벤처 기업이 사업 초기에 투자를 받기 위해 출구전략을 세우듯, 일을 그만두기 위한 출구전략도 채용되는 바로 그 순간에 세워야 합니다. 그래야 자발적으로 그만두든 해고를 당하든, 어떤 식으로 그만두든 간에 다음 일을 잘 시작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출구전략을 세웠다고 해서 기업가가 자신의 회사에 전념하지 않는 것은 아니죠. 오히려, 처음부터 출구전략을 세움으로써 목표를 향해 전념할 수 있습니다. 또 목표로 가는 가장 중요한 것들을 확실히 파악하기도 쉽죠. 일에 있어서도 끝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처음부터 이를 위한 계획을 잘 세운다면 미래에 대비할 수 있습니다. <일을 그만두기 위한 출구전략> 1단계 6개월 후에 일을 그만둔다고 가정하고 일을 그만두기 위해 무슨 준비를 해야 할지 적기. *반드시 다음의 세 가지 사항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 -직업 그만두고 하고 싶은 일은? 새로운 기회를 위해 지금 할 수 있는 것은? 네트워킹이나 인맥을 쌓기 위한 방법은? –재정 저축을 얼마나 해야 할까? 더 많은 돈을 벌기 위해 지금 무슨 일을 할 수 있을까? 지출을 줄이기 위해 재정적으로 어떤 변화를 꾀할 수 있으며, 얼마나 빠른 시일 안에 이를 수행할 수 있을까? 일을 그만두기 전에 어떤 혜택을 이용할 수 있을까? (예컨대 의료보험 등)? -개인생활: 생활양식, 거주 공간 등을 어떻게 변화시켜야 할까? <포브스> '가장 혁신적인 경영대학원 과정 Top10'에 선정! 긱 경제에서 살아남는 법! 직업 세계를 하나의 스펙트럼으로 놓고, 한쪽 끝에는 전형적인 일자리와 직급이 다른 쪽 끝에는 실업이 있다고 치면, 긱 경제는 그 사이에 존재하는 광범위하고 다양한 일과 직업 포괄합니다. 긱 포트폴리오를 마련해 평생 다양한 기업과 중단기적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대비해야 합니다. 일을 그만두고 다른 일을 시작하는 방법을 연습할수록 이 과정에 더욱 능숙해지고 편안해지며 스트레스도 줄일 수 있는 것이죠. 아무리 그래도 지금보다 고용 보장이 없는 미래라니, 불안감이 먼저 다가오나요? 그런 걱정과 스트레스를 보다 생산적인 방식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끝을 염두에 둔 상태에서 일을 수행하면 미래에 대비할 수 있습니다. 갑작스러운 해고, 인원 감축, 인수, 조직 개편으로 미처 준비도 안 된 상태에서 기습적으로 당하는 일을 막을 수 있죠. 또한 출구전략을 준비해뒀다는 사실만으로 불안한 마음을 떨쳐버릴 수 있습니다. 일자리를 빈번히 오가야 하는 일을 그만두는 것은 ‘이사’와 비슷합니다. 한 곳에 너무 오래 머물다가 이사를 하면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현 상황에 지나치게 익숙해져서 짐을 무엇부터 꾸려야 할지조차 모르죠. 하지만 이사를 자주하면 어떻게 해야 쉽고 편리하게 이사하면서 스트레스도 주일 수 있는 지 알게 됩니다. 일도 마찬가지입니다.
'사이다 경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기사를 쉽게 읽는 5가지 방법! (0) | 2017.04.10 |
---|---|
벚꽃여행 5가지 꿀팁! (0) | 2017.04.10 |
인터넷은행, 더 센 놈이 온다! (0) | 2017.04.08 |
예능PD는 얼마나 벌까? (0) | 2017.04.07 |
KBO리그의 억 소리 나는 중계권! (0) | 2017.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