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일전에 봤던 설문조사가 인상깊습니다.
'주식을 어떻게 생각하냐'는 질문에
대다수의 사람들이
'도박'이라고 답했답니다.
주식의 가격이 오르고, 내리는 것은
철저히 확률에 따라 걸린 것이며
돈을 버는 사람들은 일부의
행운아에 불과하다는 주장입니다.
다소 과장이 섞여 있긴 하지만
온전히 틀린 말은 아닙니다.
그럼 오히려 한 번
이렇게 생각해본다면 어떨까요?
내가 산 주식이 매수시점에
오를지, 내릴지는 어차피 50%의 확률.
그냥 도박이라고 생각하고
도박답게 모두가 매매한다면?
확률과 통계는
도박에서 파생된 학문이라고 합니다.
이들은 수학의 정밀성을
도박에 활용하려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그 중 마틴게일기법이라는 것은
조금 흥미롭습니다.
논리는 아주 단순합니다.
매번 도박사는
본인이 감당 가능한 만큼의
베팅만을 지속합니다.
홀짝을 맞추는 게임이고,
배당이 2.0배라고 가정해보죠.
1만 원을 투자해서 수익이 난다면
베팅금 1만 원.
수익금 1만 원이니,
1만 원의 수익이 납니다.
그럼 또 1만 원을 겁니다.
만약 틀렸다면 1만 원의 손실입니다.
이 때, 2만 원의 베팅을 합니다.
2만 원이 맞으면
아까 1만 원의 손실을 메우고도
1만 원의 추가이익이 생깁니다.
그럼 결국 1번의 손실을 입었음에도,
도박사는 1만 원의 수익이 쌓인 셈입니다.
문제는 '손실'입니다.
1만 원 → 베팅실패
2만 원 → 베팅실패
4만 원 → 베팅실패
8만 원 → 베팅실패
...
1,024만 원 → 베팅성공
-1만 원
-2만 원
-4만 원
-8만 원
-16만 원
-32만 원
-64만 원
-128만 원
-256만 원
-512만 원 ..
1,023만 원의 손실을 복구하기 위해
1,024만 원의 베팅이 필요했고,
결국 1,024만 원을 벌었지만
손실금을 제하면
고작 1만 원의 수익입니다.
최후의 베팅에서 1,024만원까지 잃었다면?
자그만치 2,000만원이 넘는
베팅금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그 베팅에 성공해도
결국 실질적 수익은
1만원에 불과합니다.
독립시행의 원리를 배운 도박사라면
"10번이나 홀이 나왔으니
이번에는 분명 짝일거야! "
라는 식의 생각은 하지 않겠지만
진즉 알다시피,
우리는 늘 현명한 판단을 할 수 없습니다.
손실은 불확정하고 싶어하고
이익은 확정하고 싶어하죠.
주식에서도
같은 사고가 적용됩니다.
좋은 매매란,
가급적 저렴하게 주식을 매수하고
마진을 붙여 매도하는 행위입니다.
예를 들어 보죠.
1백 원짜리 주식을
1만 주 샀습니다.
1백만 원의 주식평가금이죠?
근데 1백 원짜리
주식이 1% 하락했습니다.
주식은 고작 99원이 됬지만,
나의 평가금액은
무려 1만 원이 빠졌습니다.
주식이 50% 하락했다면,
내 주식평가금은
100만 원에서 50만 원입니다.
평가손실도 50%로 찍히겠죠.
이 때, 우리는 물타기의 유혹에 빠집니다.
50원이 된 주식을 여기서 2만 주 산다면?
100만 원의 추가매수자금만 있다면,
100원이였던 '평균매수단가'는
100원*1만주 = 1백만원
50원*2만주 = 1백만원으로,
약 67원이 됩니다.
원래 매수단가였던 100원과
현재 주식가격의 차이는 무려 50원이였지만
이제 고작 17원밖에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여기서 만약,
내 원래 매수단가까지만 올라가준다면
무려 47원*3만주의 수익이 생깁니다.
올라가주기만 한다면 말이죠.
물론 주식의 가격이 오르고 내리는데는
여러 가지 변수가 작용하지만
단언컨데 그 많은 변수 중
나의 평균단가라는 변수는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나의 수익률에 관심이 있는 것은
오직 나 하나뿐일 겁니다.
홀이 10번 나왔다한들,
다음에 홀이 나올 확률은
여전히 50%인 것과 같은 셈입니다.
일견 과학적이게만 보이는 주식시장이지만
사람들은 주식은 기법이 아니라
심법이라고들 말하기도 합니다.
탐욕과 공포, 편향과 같은
내재된 인간의 한계를 이겨내야 한다는
이 주장은 상당히 설득력 있습니다.
불행의 이유는 다양하지만
행복의 이유는 엇비슷하다는
톨스토이의 격언도 있습니다.
시장에서 수익을 가져가는
극히 일부의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말하는 조언 중 하나는
합리적 우위에 있는
매매를 반복하라는 것입니다.
자본이 오락가락하는 와중에서
합리적 우위를 따지는 일이
쉽지는 않겠지만요.
뜨거운 감정보다는
차가운 이성으로,
급한 토끼보다는
느긋한 거북이로.
일단 주식을 시작한 이상,
평생의 부업이 생겼다 생각하고
여유로운 마음을 갖고
천천히, 합리적이고
좋은 습관을 만들어가려는 자세.
많이 어려운 일이겠지만,
그렇기에 더욱 가치있는 일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드는 요즘입니다.
'사이다 주식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이다주식] 너는 신용등급 몇이야? 나이스그룹 (0) | 2016.07.26 |
---|---|
[사이다주식] 손절을 똑바로 해낼 수 있는 인간은 5%도 안 된다? (0) | 2016.07.25 |
[사이다주식] 93%의 이야기 (0) | 2016.07.20 |
[사이다주식] 랩지노믹스&한스바이오메드, 특이점이 오고 있다 (0) | 2016.07.19 |
[사이다주식] 보물을 찾는 사람들 (0) | 2016.07.19 |
- Total
- Today
- Yesterday
- 책추천
- 증권
- 일본
- 경제
- 주식투자
- 아파트
- 팟캐스트
- 주식
- 문재인
- 사이다경제
- 시사경제용어
- 삼성전자
- 경제책추천
- 기업분석
- 금융
- 재테크
- 주가
- 취업
- 상식
- 종목추천
- 코스닥
- 부동산
- 시사용어
- 부동산투자
- 앞집
- 증시
- 주식 시황
- 코스피
- 투자
- 종목분석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